Express는 Node.js를 위한 빠르고 개방적인 간결한 웹 프레임워크이다.

Node.js의 등장으로 원래는 브라우저 안에서만 쓰이던 자바스크립트가 브라우저 바깥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자바스크립트로 서버도 만들 수가 있게 되었는데 이러한 개발자들이 서버를 쉽게 구성할 수 있게 만든 프레임워크가 바로 Express라고 할 수 있다. 상당히 빠르고 유연하며 개방적이기 때문에 초심자들이 많이 선택하는거 같다.
기본적으로 프레임워크 안에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 구축을 위한 각종 라이브러리와 미들웨어가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개발하기가 편하고 가장 대중화 되어 있어 배우기가 쉽다.
그럼 express를 시작해보자.
nodejs가 깔려있다는 가정하에...
먼저 적당한 디렉토리를 연다.
그리고 터미널을 연후
npm init
명령어를 실행한다.

나오는 옵션들은 우선 디폴트 값으로 설정해주는데 그냥 엔터키를 연타하면된다.
그 다음엔 express를 설치해준다.
npm install --save express
추가적인 명령어를 통해 타입스크립트로도 세팅할 수 있는데 이는 추후 포스팅에서 다룰 예정이다.

그 다음 루트 디렉토리에 index.js 파일을 만들고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app = express()
const port = 3000
app.get('/', (req, res) => {
res.send('Hello World!')
})
app.listen(port, () => {
console.log(`Example app listening at http://localhost:${port}`)
})
그런 다음 터미널에 node index.js 명령어를 실행하면


서버가 실행된 것을 볼 수 있다. 서버를 띄우는거 자체는 정말 쉽다.
사실 이건 제일 간단하게 서버만 돌려본 수준이고 디테일한 세팅을 더 해주어야한다. 요즘 노드 진영 서버 쪽 대세가 NestJS라고는 하지만 express를 사용하는 곳도 많고 새로운 프로젝트에서 express를 사용하게 됐기 때문에 추후 포스팅하도록 하겠다.
'backend > Express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de.js] Node.js란 무엇인가? (1) | 2024.08.26 |
---|---|
[Prisma] EC2에서 Property does not exist on type 배포 실패 (0) | 2024.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