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evOps/Docker

[Docker] 도커 흐름 살펴보기

by BK0625 2023. 12. 19.
반응형

도커를 사용할 때의 흐름을 보자면

 

먼저 도커 CLI에 커맨드를 입력한다. 그러면 도커 서버 (도커 Daemon)이 그 커맨드를 받아서 그것에 따라 이미지를 생성하든 컨테이너를 실행하든 모든 작업을 하게 된다.

 

CLI에서 커맨드를 입력해보자.

 

 

먼저 도커 데스크탑 앱을 켜야한다. 안그러면 저런 에러가 난다.

 

데스크탑 앱을 키면 

 

 

이런 식으로 뜬다. 다시 실행해보면

 

 

 

 

 

방금 명령어로 hello-world라는 이미지를 실행했다. 만약 로컬에 받아놓은 이미지가 없다면 이미지를 찾을 수 없다는 메세지가 뜨면서 헬로월드라는 이미지를 어딘가에서 pulling 해와서 실행하게 된다. 나는 기존에 받아 놓은 이미지가 있었기 때문에 바로 실행이 되었다.

 

 

즉 우리가 도커 클라이언트에서 입력한 명령어는 도커 서버로 전해지게 된다. 도커 서버는 컴퓨터 안에 있는 이미지 캐시 보관 장소에 해당 이미지가 있는지 살펴보고 없으면 도커 허브에서 해당 이미지를 가져오게 된다. 

 

 

공부하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모든 지적 감사히 받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