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arameter type
Dart에서는 파라미터에 타입을 선언을 해줘야 한다. 문자열을 넘길거면 String, 숫자를 넘길거면 int, num, double 등 각각의 타입을 명시해주어야 한다.
화살표 함수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바로 해당 연산을 리턴한다.
Named parameters
함수에 인자를 넘길 때 이름을 붙여서 명시적으로 인자를 넘길 수 있다. 이를 name argument라고 하는데 이렇게 넘겨주면 null 값이 전달되어 에러가 날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초기값을 지정해주거나 인자에 required를 명시해서 해당인자들을 무조건 넣어줘야한다고 해줘야 한다.
optional positional parameters
위 이미지 처럼 함수에 인자를 전달할 때 []로 변수를 묶고 디폴트 값을 주게 되면 선택적으로 인자를 전달 할 수 있게 된다. 위 함수에서는 name, age 변수는 전달하지 않으면 에러가 나지만 country는 넣지 않아도 디폴트 값이 있기 때문에 에러가 나지 않는다.
QQ operator
QQ operator는 ?? 두개를 사용하게 되는데 주석 처리된 삼항연산자와 비슷하게 작동한다. 함수에 인자로 전달된 name이 String 값이면 toUpperCase() 함수가 실행이 되고 만약 null 값이 전달된다면 'anon' 값이 반환된다.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틀린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모든 지적 감사히 받겠습니다:)
반응형
'프로그래밍 언어 > Dart'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rt] 추상화 클래스와 상속, Mixin (0) | 2023.10.25 |
---|---|
[Dart] Cascade Notation (0) | 2023.10.25 |
[Dart] 클래스 - 클래스와 생성자 (2) | 2023.10.25 |
[Dart] 자료형 (0) | 2023.02.22 |
[Dart] Dart를 시작해보자 (0) | 2023.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