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스프링 레거시 프로젝트를 AWS elastic beanstalk으로 손 쉽게 배포해보는 방법을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다.
먼저 스프링 프로젝트에서 .war 파일을 뽑아낸다.



프로젝트 이름을 적고 경로 설정을 해준다. 그 다음에 AWS 사이트로 이동.

로그인을 하고

Elastic Beanstalk으로 이동한다.

시작하기의 Create Application 클릭

애플리케이션 이름을 적어주고

톰캣을 사용해서 배포할거니까 플랫폼을 톰캣을 선택해주고 애플리케이션 코드를 직접 업로드 할거니까 (아까 export 한 .war 파일) 코드 업로드를 선택해준다.

로컬 파일을 선택한 후 (만약 .war 파일의 용량이 크다면 S3에 파일을 업로드한 뒤 해당 객체의 URL을 넘기면 된다.) 그리고 아까 export한 war file을 업로드한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생성 클릭!

그리고 여러 세팅을 AWS가 알아서 해주면서 이 화면이 뜨는데 잠시 대기해주면 된다. 길게는 몇 분 정도 걸릴 수 있으므로 화장실을 다녀오거나 커피를 타오자.

배포가 완료 되었다. 저기 Wordtest-env밑에 url을 클릭하면

배포가 잘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딱 봐도 알겠지만 배포도 정말 쉽고 굳이 EC2 인스턴스 대여해서 거기 원격접속하고 자시고 할 필요도 없으며 로그나 모니터링 등의 기능도 설정에 따라 사용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한 배포 수단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어쨌든 Elastic beanstalk도 EC2 인스턴스를 사용해 배포하는 것이기 때문에 요금이 과금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프리티어일때도 나가는거 같음...)
'backend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Hwplib 사용해보기 (2) | 2023.02.0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