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명령어2

[Docker] 기본적인 도커 클라이언트 명령어 알아보기 저번 포스팅에 나왔던 docker run hello-world 명령어를 뜯어보면 다음과 같다. docker run 이미지 이름(예:hello-world) 도커 클라이언트 언급 컨테이너 생성 및 실행 이 컨테이너를 위한 이미지 작동 순서는 다음과 같았다. 해당 명령어를 도커 클라이언트에 명령어 입력 후 도커 서버로 보낸다. 도커 서버에서는 컨테이너를 위한 이미지가 이미 캐쉬가 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없으면 도커 허브에서 다운을 받아오고 있으면 이미 가지고 있는 이미지로 컨테이너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미지로 컨테이너를 생성 하는데 먼저 파일 스냅샷 되있는 것을 컨테이너의 하드 디스크 부분에 올리고 시작 커맨드를 이용해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그럼 이미지 내부 파일 시스템 구조를 보기 위한 명령어를 알아보자.. 2023. 12. 20.
[CS] 컴퓨터 구조 (2) 데이터와 명령어 컴퓨터 구조를 공부하면서 배운 내용을 정리해보자. 문자 표현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0,1로 문자를 표현한다. 문자 집합은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문자의 모음이며 컴퓨터가 문자를 이해하기 위해선 문자를 0과 1로 이루어진 문자 코드로 변환하는 과정이 (즉 코드화 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를 인코딩이라고 한다. 반대로 0과 1로 표현된 문자 코드를 문자로 변환하는 과정은 디코딩이라고 한다. -아스키 코드와 EUC-KR, UTF-8 아스키 코드는 초창기 문자 집합 중 하나로써 알파벳, 아라비아 숫자, 일부 특수 문자 및 제어 문자를 표현할 수 있다. 인코딩이 간단하며 7비트로 하나의 문자를 표현한다.(아스키 코드는 총 8비트이지만 1비트는 오류 검출을 위해 사용되는 패리티 비트로 사용됨) 그러나 7비트로 하나.. 2023. 6.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