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이미지2

[Docker] 이미지로 컨테이너 만들기 도커에서 이미지가 어떻게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컨테이너에서 어떻게 프로그램을 실행하는지 알아보자. 도커는 이미지를 이용해서 컨테이너를 생성한다. 이미지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모든 것을 포함하고 있다. 그 필요한 것을 말해보자면 먼저 컨테이너가 시작 될 때 실행되는 명령어가 있어야 한다. 해당 컨테이너 안에서 그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거기 때문에 컨테이너가 시작할 때 실행 될 명령어가 있어야 된다. 그리고 파일 스냅샷이 있어야 한다. 컨테이너 안에서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 할 때 그 파일이 당연히 필요하다. 따라서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파일(스냅샷)이 필요하다. 즉 명령어와 파일 스냅샷 두 가지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 다음에 이미지로 컨테이너를 만드는 과정을 살펴보자 저번 포스팅 .. 2023. 12. 20.
[Docker] 도커란 무엇인가? 도커를 쓰는 이유를 먼저 간단하게 말하자면 어떠한 프로그램을 다운 받는 과정을 굉장히 간단하게 만들기 위해서이다. 도커 없이 프로그램을 받을 땐 installer를 다운 받고 installer를 실행해서 프로그램을 설치하게 되는데 갖고 있는 서버, 패키지 버전, 운영체제 등등에 따라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과정 중에 많은 에러가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이러한 설치과정을 단순하게 할 수 있는게 바로 도커라고 할 수 있다. Redis를 예를 들어보자면 원래 홈페이지에 가서 인스톨러를 받아서 설치를 해야한다. 하지만 도커를 사용하면 명령어 하나로 도커를 이용해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고 이러면 예상치 못한 에러도 덜 발생하며 설치하는 과정도 훨씬 간단해졌다. 그렇다면 도커는 무엇인가?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응용프로.. 2023. 12.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