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캐시2

[Redis] Redis란? 그 동안 프로젝트에 redis를 붙여봐야지 하고 한참을 미루다가 붙이기 전에 글로 정리하고자 쓰는 포스팅... Redis는 Key,Value 구조의 비정형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오픈 소스 기반의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다. 전체 데이터를 영구히 저장하기 보다는 캐쉬처럼 휘발성이나 임시성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많이 사용된다. 디스크에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저장하기는 하지만, 이 기능은 백업이나 복구용으로 주로 사용하고 데이터는 모두 메모리에 저장되기 때문에, 빠른 접근 속도를 자랑한다. 그렇다면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가 있는데 왜 Redis라는 인메모리 데이터 구조 저장소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일단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직접 물리 디스크에 쓰기 때문에 서버에 문제가 발생.. 2023. 9. 11.
[NestJS]캐시 및 NestJS에서의 캐시 사용 프로젝트를 하다가 정보를 띄워주는 페이지에서 속도가 느려지는 현상이 있었다. 그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 캐시를 공부하고 사용해보았기에 그 내용을 포스팅하려한다. 캐시(cache) 캐시란 컴퓨터 내부의 임시 저장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인터넷에서 사이트에 방문했을 때 다운로드한 파일들이 캐시에 저장되는데 캐시를 사용하면 다음에 같은 사이트를 방문할 때 시스템이 모든 정보를 다시 로드하지 않아도 된다. 데이터를 미리 복사해 놓았기 때문에 계산이나 접근 시간 없이 더 빠른 속도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어 브라우저가 사이트를 더 빠르게 로드할 수 있다. 캐시에 원하는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해당 데이터를 반환하며 이 상황을 Cache Hit라고 하며 원하는 데이터가 캐시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DBMS 또는 서.. 2023. 1.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