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타입1 [TypeScript] 타입스크립트 알아보기 (1) 쓰는 이유와 타입의 종류 요새는 사람인을 보던 잡플래닛을 보던 프론트엔드건 백엔드건 거의 무조건 타입스크립트를 쓰는 것 같다. 자바스크립트와는 여러 가지 차이점이 있겠지만 제일 큰 차이는 자바스크립트에 타입을 부여했다는 것이다. (그래서 타입스크립트인거겠지...) 그렇다면 왜 타입스크립트를 쓰는 것일까? 에러의 사전 방지 잘 알려졌다시피 자바스크립트는 타입이 동적으로 할당이 된다. 그로 인해 많은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렇게 덧셈을 하는 코드가 있다고 하자. 근데 만약 개발자의 실수든 뭐든 해서 밑에 코드가 다음과 같이 바뀐다면 말도 안되는 답이 나오는 것이다. 이런 에러가 발생할 일이 있겠냐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개발을 하다보면 동적 타입에 의한 문제는 생각보다 많이 튀어나오게 된다. 즉 타입스크립트는 이런 문제를 막아준다. 위.. 2023. 8. 2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