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nv2

[GoLang] 환경변수(.env) 설정 어느 프레임워크에서나 데이터베이스를 직접 연결할 때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절대 코드에 직접 입력하지 않는다. 보안상 이슈 때문에 보통은 .env 안에 환경변수로서 정보들을 관리한다. (데이터베이스 뿐만 아니라 인증에 필요한 정보나 그 외 보안상 필요한 정보는 환경변수로 관리한다. 일단 go에서는 똑같이 루트 디렉토리에 .env 파일을 만들어준다. 그리고 필요한 정보를 입력해준다. 지금은 로컬에서 돌리지만 클라우드 디비를 활용할 경우 그에 맞는 정보를 입력해야한다. 그리고 디비를 연결할 때 env를 먼저 로드해줘야한다. err := godotenv.Load() if err != nil { log.Fatal("Error loading .env file") } dbHost := os.Getenv("DB_HOST.. 2023. 12. 8.
[NestJS] .env를 사용해서 MySQL 연동하기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연동할 때에 코드에 바로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적지 않는다. 만약 하드코딩으로 백엔드 코드에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집어넣고 실수로 깃허브에 커밋한다거나 유출이 되면 큰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통 환경변수로 설정해 관리하곤 하는데 .env 파일을 이용해서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환경변수로 설정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연동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먼저 MySQL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한 typeorm 라이브러리를 설치하자. mysql2를 설치해야 별도의 라이브러리 설치 없이 사용가능하다. 루트 디렉토리에 .env 파일을 생성한다. 꼭 앞에 .을 붙여야 한다. 그 후 .env 파일내에 다음과 같이 데이터 베이스 정보를 적는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appModule.ts 파일로 와서 .. 2023. 3.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