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함수2 [TypeScript] 타입스크립트 알아보기 (2) 함수, 인터페이스, 제네릭 함수 타입스크립트는 다음 코드와 같이 매개 변수에 타입을 추가할 수 있다. function sum(a:number, b:number) { return a+b; } 이러면 이 함수를 호출할 때 매개변수를 숫자가 아닌 다른 걸 넣게 되면 바로 에러가 나게 된다. 여기에 더하여 반환값에도 타입을 할당할 수 있다. function sum(a:number, b:number) :number { return a+b; } 이러면 sum이라는 함수는 두 개의 숫자를 매개변수로 받아 숫자를 반환하는 함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타입스크립트에서는 함수의 인자를 모두 필수 값으로 생각한다. 자바스크립트에서는 위 코드의 sum 함수에서 매개변수를 하나만 주어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타입스크립트에서는 두 개의 숫자를 .. 2023. 8. 22. [Dart] 함수 Parameter type Dart에서는 파라미터에 타입을 선언을 해줘야 한다. 문자열을 넘길거면 String, 숫자를 넘길거면 int, num, double 등 각각의 타입을 명시해주어야 한다. 화살표 함수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바로 해당 연산을 리턴한다. Named parameters 함수에 인자를 넘길 때 이름을 붙여서 명시적으로 인자를 넘길 수 있다. 이를 name argument라고 하는데 이렇게 넘겨주면 null 값이 전달되어 에러가 날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초기값을 지정해주거나 인자에 required를 명시해서 해당인자들을 무조건 넣어줘야한다고 해줘야 한다. optional positional parameters 위 이미지 처럼 함수에 인자를 전달할 때 []로 변수를 묶고 디폴트 값을 주게 .. 2023. 2. 2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