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dejs13 [Redis] Redis란? 그 동안 프로젝트에 redis를 붙여봐야지 하고 한참을 미루다가 붙이기 전에 글로 정리하고자 쓰는 포스팅... Redis는 Key,Value 구조의 비정형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오픈 소스 기반의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다. 전체 데이터를 영구히 저장하기 보다는 캐쉬처럼 휘발성이나 임시성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많이 사용된다. 디스크에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저장하기는 하지만, 이 기능은 백업이나 복구용으로 주로 사용하고 데이터는 모두 메모리에 저장되기 때문에, 빠른 접근 속도를 자랑한다. 그렇다면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가 있는데 왜 Redis라는 인메모리 데이터 구조 저장소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일단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직접 물리 디스크에 쓰기 때문에 서버에 문제가 발생.. 2023. 9. 11. [NodeJS] NVM으로 Node 버전 관리하기 간혹 일을 하다보면 버전이 맞지 않아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내 경우에는 다른 문제가 발생했지만 찾아보니 node 버전을 17버전으로 낮추면 해결된다는 말이 있어 nvm으로 node 버전을 관리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1. NVM 우선 NVM을 설치하자 https://github.com/coreybutler/nvm-windows/releases Releases · coreybutler/nvm-windows A node.js version management utility for Windows. Ironically written in Go. - coreybutler/nvm-windows github.com nvm-setup.exe 파일을 받고 설치를 진행해준다. 기존 설정대로 가되 만약 이미 NodeJS.. 2023. 9. 1. [NestJS] NestJS 프로젝트 시작하기 https://bk0625.tistory.com/3 [NestJS] NestJS란? 요즘 Node 진영에서 핫한 프레임워크인 NestJS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겠다. NestJS는 Node.js에 기반을 둔 웹 API 프레임 워크로 IoC, DI, AOP와 같은 객체 지향 개념을 도입하였다. 자바 진영의 스프링과 비 bk0625.tistory.com NestJS는 효율적이고 확장 가능한 Node.js 서버 측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기 위한 프레임워크이다. 타입스크립트를 완벽하게 지원한다. NestJS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먼저 Node.js가 설치되어 있다는 가정하에 포스팅을 진행하겠다. 공식문서에는 v13을 제외하고 v12보다 높으면 된다고 나와있으니 참고 바란다. NestCLI를 사용하면.. 2023. 5. 31. [NestJS]NestJS에서 Transaction(트랜잭션) 활용 프로젝트를 개발하면서 한 객체를 데이터베이스에 넣고 해당 인덱스를 활용하여 또 다른 insert 작업을 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만약 중간 단계에서 에러가 난다면 해당 작업 도중 발생한 insert를 모두 되돌려야 하는데 이럴 때 트랜잭션 단위로 묶어서 처리를 해줄 수 있다. 트랜잭션이 무엇인지 정리하고 프로젝트 도중 트랜잭션을 활용한 내용으로 공유하도록 하겠다. 트랜잭션(Transcation) 트랜잭션의 사전적 정의는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업무 처리의 최소 단위라고 말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에서의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여러 개의 클라이언트가 동시에 엑세스를 하거나 응용프로그램이 갱신을 처리할 때 중단 될 수 있는 등 데이터 부정합을 방지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예를 들.. 2023. 1. 27.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