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30

[NestJS] NestJS란? 요즘 Node 진영에서 핫한 프레임워크인 NestJS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겠다. NestJS는 Node.js에 기반을 둔 웹 API 프레임 워크로 IoC, DI, AOP와 같은 객체 지향 개념을 도입하였다. 자바 진영의 스프링과 비슷한 위치로 스프링과 많은 유사성을 지닌다. 대표적으로 스프링의 어노테이션 같이 데코레이터를 사용하여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을 적용한 코드를 작성 가능하다. Express와의 비교 그 동안 노드 진영의 서버 프레임워크로는 express가 많이 사용되었다. express는 배우기 쉽고 빠르게 서버를 띄울 수 있으며 구조를 짜기에 매우 자유롭다. 하지만 너무 자유로운 나머지 사람들마다 모두 구조가 다르고 협업을 하거나 유지 보수하기에 어려움을 겪는 문제가 있었다. NestJS는 비교.. 2023. 1. 16.
[React]리액트란? 리액트란 페이스북에서 개발한 유저 인터페이스 라이브러리이다. 개발자로 하여금 재사용 가능한 UI를 생성할 수 있게 해주는데 페이스북, 인스타,넷플릭스 등 많은 큰 서비스에서 사용하고 있다. 리액트는 Virtual DOM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상태의 변함에 따라 선택적으로 유저 인터페이스를 렌더링하여 최소한의 DOM처리로 컴포넌트들을 업데이트 할 수 있게 해준다. Virtual DOM과 DOM 먼저 VirtualDOM과 DOM에 대해 알아보자면 DOM이란 객체를 통하여 구조화된 문서를 표현하는 방법을 말한다.(이를테면 xml이나 HTML 같은) 트리 형태로 되어있어 특정 노드를 찾거나 수정, 제거, 삽입 할 수 있다. 문제는 DOM은 동적 UI에 최적화 되어있지 않다는 것이다. 이전에는 자바스크립트나 제이.. 2023. 1.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