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CS11

[CS] 운영체제 (2) 프로세스 프로세스 프로세스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다. 포그라운드 프로세스와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로 나눌 수 있다. 포그라운드 프로세스 사용자가 볼 수 있는 공간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일반적인 프로세스이다.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사용자가 볼 수 없는 공간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크게 사용자와 직접 상호작용이 가능한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와 사용자와 상호작용하지 않고 그저 정해진 일만 수행하는 프로세스가 있는데 후자를 데몬, 혹은 서비스라고 한다. 프로세스 제어 블록 모든 프로세스는 실행을 위해 CPU가 필요하다. 그렇지만 CPU 자원은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프로세스들은 돌아가며 한정된 시간만큼만 CPU를 이용하며 타이머 인터럽트가 발생했을 때 차례를 양보한다. 이렇게 빠르게 번갈아 수행되는 프로세스들을 관리해야 하는데.. 2023. 7. 14.
[CS] 운영체제 (1) 운영체제란? 운영체제를 공부하며 정리한 내용입니다 운영체제를 알아야 하는 이유 모든 프로그램은 실행을 위해 자원(시스템 리소스)을 필요로 한다. 자원은 프로그램 실행에 있어 마땅히 필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운영체제는 이러한 자원들을 실행할 프로그램에 필요한만큼 할당하고 프로그램이 올바르게 실행되도록 돕는 특별한 프로그램이다. 그래서 메모리에 적재되는데 운영체제는 커널 영역에 적재가 된다. 사용자가 특정 목적을 위해 사용하는 일반적인 프로그램을 응용 프로그램이라고 하는데 이건 사용자 영역에 적재된다. 운영체제는 응용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적재해주는 등 메모리 관리를 한다. 또한 CPU 역시 관리한다. 어떤 프로그램을 나중에 실행할지 얼마나 오래 실행할지 등을 관리하는 것이다. 입출력 장치 역시 관리하며 하드웨어랑 .. 2023. 7. 13.
[CS] 컴퓨터 구조 (7) 입출력장치 입출력 장치는 앞서 학습한 CPU 메모리보다 다루기가 까다롭다. 일단 입출력장치에는 종류가 너무도 많다. 장치가 다양하면 장치마다 속도, 데이터 전송 형식 등도 다양 해지며 정보를 주고 받는 방식을 규격화하기가 어렵다. 또 일반적으로 CPU와 메모리의 데이터 전송률은 높지만 입출력 장치의 데이터 전송률은 낮다.(전송률이란 데이터를 얼마나 빨리 교환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이러한 이유로 입출력 장치는 장치 컨트롤러를 통해 컴퓨터와 연결된다. 이를 통해 컴퓨터 내부와 정보를 주고 받게 된다. 장치 컨트롤러의 역할 - CPU와 입출력장치 간의 통신 중개(일종의 번역가 역할 수행. 즉 통신의 규격화) - 오류 검출 - 데이터 버퍼링( 버퍼링이란? : 전송률이 높은 장치와 낮은 장치 사이에 주고 받는 데이.. 2023. 7. 13.
[CS] 컴퓨터 구조 (6) 메모리와 캐시 메모리 RAM의 특성과 종류 주기억장치의 종류에는 크게 RAM과 ROM 두 가지가 있고 메모리는 RAM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RAM은 휘발성 저장 장치이고 보조기억장치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이다. RAM이 작으면 여러 프로그램을 실행 할 수 있는 여력이 떨어진다. 프로그램을 보조기억장치에서 RAM이 가져와야 하기 때문이다. 반대로 RAM이 크면 프로그램이 전부 RAM 안에 있기 때문에 성능이 좋다. 즉 책장(보조기억장치)에서 책을 가져오냐 아니면 책상(RAM,메모리) 책을 미리 올려놓느냐인데 책상의 크기에 따라 속도가 달라지는 것이다. DRAM 다이나믹 렘이다. 저장된 데이터가 동적으로 사라지는 RAM이다. 데이터 소멸을 막기 위해 주기적으로 재활성화 해야한다. 일반적으로 메모리로 사용된다. 상대적으로 소비전.. 2023. 7.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