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CS11

[CS] 컴퓨터 구조 (5) CPU 설계 기법 컴퓨터 부품들은 클럭 신호에 맞춰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며 CPU는 명령어 사이클이라는 정해진 흐름에 맞춰 명령어들을 실행하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클럭이 빠를수록 CPU 성능이 좋다. 클럭 속도는 헤르츠로 측정되며 헤르츠는 1초에 100번 반복되는 회수를 의미한다. 다만 필요 이상으로 클럭을 높이면 발열이 심각해진다. 따라서 CPU 성능을 올리기 위해 클럭속도를 늘리는 방법 외에 다른 방법이 있다. 바로 코어 수나 스레드 수를 늘리는 방법이다. 코어란? 일단 현대적인 관점에서 CPU라는 용어를 재해석 해야 하는데 CPU는 명령어를 실행하는 부품이라고 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는 명령어를 실행하는 부품이 원칙적으로 하나만 존재했지만 요즘에는 CPU에 명령어를 실행하는 부품이 여러개 존재 한다. 그래서 명령.. 2023. 6. 28.
[CS] 컴퓨터 구조 (3) CPU의 작동 원리 ALU는 CPU 안에 있는 산술 논리 연산자이다. ALU는 레지스터로부터 피연산자, 제어장치로 부터 제어신호를 받아들이고 레지스터에 결괏값이나 플래그를 내보낸다. 즉 계산을 하기 위해서는 피연산자와 수행할 연산이 필요하다. 그리고 플래그는 플래그 레지스터라는 곳에 따로 저장이 된다. 레지스터에 저장하는건 메모리에 접근하는 거보다 속도가 빠르기 때문이다. 플래그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부호 플래그 : 연산할 결과의 부호를 나타낸다. -제로 플래그 : 연산 결과가 0인지 여부를 나타낸다. -캐리 플래그 : 연산 결과 올림수나 빌림수가 발생했는지를 나타낸다. -오버플로우 플래그 : 오버플로우가 발생했는지를 나타낸다. -인터럽트 플래그 : 인터럽트가 가능한지를 나타낸다. -슈퍼바이저 플래그 : 커널 모드로 실행.. 2023. 6. 15.
[CS] 컴퓨터 구조 (2) 데이터와 명령어 컴퓨터 구조를 공부하면서 배운 내용을 정리해보자. 문자 표현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0,1로 문자를 표현한다. 문자 집합은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문자의 모음이며 컴퓨터가 문자를 이해하기 위해선 문자를 0과 1로 이루어진 문자 코드로 변환하는 과정이 (즉 코드화 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를 인코딩이라고 한다. 반대로 0과 1로 표현된 문자 코드를 문자로 변환하는 과정은 디코딩이라고 한다. -아스키 코드와 EUC-KR, UTF-8 아스키 코드는 초창기 문자 집합 중 하나로써 알파벳, 아라비아 숫자, 일부 특수 문자 및 제어 문자를 표현할 수 있다. 인코딩이 간단하며 7비트로 하나의 문자를 표현한다.(아스키 코드는 총 8비트이지만 1비트는 오류 검출을 위해 사용되는 패리티 비트로 사용됨) 그러나 7비트로 하나.. 2023. 6.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