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js13 [TS] 타입스크립트에서 Wrapper 객체 타입 피하기 프로젝트를 하던 도중 이런 에러가 떴다. 이 부분에서 문제가 생긴거 같은데 isDeleted의 타입은 Boolean이였기 때문에 문제가 없어 보였다. 하지만 타입스크립트에서는 객체 Wrapper 타입을 지양한다. 객체 Wrapper 타입이란 대문자로 시작하는 타입인데 (Number, String, Boolean, Object 등) 반대는 원시타입이 있다.(number,string,boolean,object 등) 원시타입들은 객체 타입이 아니고 단순 데이터 타입이기 때문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즉 프로토타입이 없고 메서드도 없다. 하지만 자바스크립트에서는 이 원시 타입에 메소드를 사용하고는 하는데 이는 자바스크립트 엔진에서는 형 변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능하다. 위 사례처럼 메서드를 사용하게 되면 순간적으.. 2023. 5. 16. [JS] import와 require의 차이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해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다가 어떤 모듈을 불러오기 위해 import를 사용했지만 에러가 뜨면서 require를 사용하라고 메세지가 뜬적이 있다. 그 둘의 차이를 알아보자. 기본적으로 import와 require는 모듈 키워드이다. 즉 외부 파일이나 라이브러리를 불러올 때 사용한다. 다만 require는 NodeJS에서 사용하고 있는 CommonJS 키워드이고 import는 ES2015에서 새롭게 도입된 키워드이다. 둘 다 같은 목적을 가지고 있지만 위 이미지처럼 다른 문법 구조를 지니고 있다. 요새는 ES6가 많이 쓰여 import가 주로 사용되고 있지만 태그를 사용하는 브라우저 환경이나, CommonJS를 기본으로 채택하고 있는 NodeJS 등이 있기 때문에 100% import로 대체.. 2023. 5. 15. [JS]자바스크립트로 만든 간단한 리볼빙 계산기 코드는 간단하지만 내 마음은 간단치가 않다. 이건 뭐 거의 사기가 아닌가... 일단 리볼빙이라는거 자체가 계속 리볼빙을 걸어놓으면 코드가 끝나지 않기 때문에 처음 리볼빙을 걸고 돈을 쓴 뒤 아예 쓰지 않는 상황을 상정했다. (이 부분은 추후 보강할 예정) 일단 난 더 현재 금액에서 원금을 더 불리고 싶지 않아 카드를 꺾어버릴 예정이다. var wongum = 500; //원금 var gumli = 20; //이자율 var guljeviyul = 10; // 결제비율 var shit = 0; // 총 결제 비용 var yes = 5; //이제 한번에 갚을 수 있겠다 싶은 비용 var i = 0; while(wongum>yes){ console.log("------------------"); console... 2023. 5. 9. [React]React + TypeScript 시작하기 https://bk0625.tistory.com/2 [React]리액트란? 리액트란 페이스북에서 개발한 유저 인터페이스 라이브러리이다. 개발자로 하여금 재사용 가능한 UI를 생성할 수 있게 해주는데 페이스북, 인스타,넷플릭스 등 많은 큰 서비스에서 사용하고 있 bk0625.tistory.com https://bk0625.tistory.com/18 [TypeScript] 타입스크립트란? 타입스크립트란? 타입스크립트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구현한 JavaScript의 슈퍼셋 프로그래밍 언어로 정적 타입을 명시 할 수 있다는게 순수 자바스크립트랑 가장 큰 차이점이다. 따라서 개발자 bk0625.tistory.com 리액트는 페이스북에서 개발한 유저 인터페이스 라이브러리이다. 개발자로 하여금 재사용 가능한 UI를 .. 2023. 4. 25.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