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37 [WEB] 웹서버와 WAS의 차이 서버 개발에서의 가장 기초적인 개념인 웹 서버와 WAS의 차이점을 알아보자 웹 서버(Web server) 웹 서버의 사전적 정의는 '웹 브라우저 클라이언트로부터 HTTP 요청을 받아들이고 HTML 문서와 같은 웹 페이지를 반환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즉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서 어떠한 페이지 요청을 하면 웹 서버에서 그 요청을 받아 '정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여기서 정적 컨텐츠는 단순 HTML 문서, CSS, javascript, 이미지, 파일 등 즉시 응답 가능한 컨텐츠이다. 웹 서버는 크게 두 가지 일을 하게 되는데 단순히 저장된 웹 리소스들을 클라이언트로 전달하고, 클라이언트로부터 콘텐츠를 전달받아 저장하거나 처리 사용자로부터 동적인 요청이 들어왔을 때 해당 요청을 웹 서버 자체적으로.. 2023. 7. 19. [CS] 운영체제 (2) 프로세스 프로세스 프로세스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다. 포그라운드 프로세스와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로 나눌 수 있다. 포그라운드 프로세스 사용자가 볼 수 있는 공간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일반적인 프로세스이다.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사용자가 볼 수 없는 공간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크게 사용자와 직접 상호작용이 가능한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와 사용자와 상호작용하지 않고 그저 정해진 일만 수행하는 프로세스가 있는데 후자를 데몬, 혹은 서비스라고 한다. 프로세스 제어 블록 모든 프로세스는 실행을 위해 CPU가 필요하다. 그렇지만 CPU 자원은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프로세스들은 돌아가며 한정된 시간만큼만 CPU를 이용하며 타이머 인터럽트가 발생했을 때 차례를 양보한다. 이렇게 빠르게 번갈아 수행되는 프로세스들을 관리해야 하는데.. 2023. 7. 14. [CS] 운영체제 (1) 운영체제란? 운영체제를 공부하며 정리한 내용입니다 운영체제를 알아야 하는 이유 모든 프로그램은 실행을 위해 자원(시스템 리소스)을 필요로 한다. 자원은 프로그램 실행에 있어 마땅히 필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운영체제는 이러한 자원들을 실행할 프로그램에 필요한만큼 할당하고 프로그램이 올바르게 실행되도록 돕는 특별한 프로그램이다. 그래서 메모리에 적재되는데 운영체제는 커널 영역에 적재가 된다. 사용자가 특정 목적을 위해 사용하는 일반적인 프로그램을 응용 프로그램이라고 하는데 이건 사용자 영역에 적재된다. 운영체제는 응용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적재해주는 등 메모리 관리를 한다. 또한 CPU 역시 관리한다. 어떤 프로그램을 나중에 실행할지 얼마나 오래 실행할지 등을 관리하는 것이다. 입출력 장치 역시 관리하며 하드웨어랑 .. 2023. 7. 13. [CS] 컴퓨터 구조 (7) 입출력장치 입출력 장치는 앞서 학습한 CPU 메모리보다 다루기가 까다롭다. 일단 입출력장치에는 종류가 너무도 많다. 장치가 다양하면 장치마다 속도, 데이터 전송 형식 등도 다양 해지며 정보를 주고 받는 방식을 규격화하기가 어렵다. 또 일반적으로 CPU와 메모리의 데이터 전송률은 높지만 입출력 장치의 데이터 전송률은 낮다.(전송률이란 데이터를 얼마나 빨리 교환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이러한 이유로 입출력 장치는 장치 컨트롤러를 통해 컴퓨터와 연결된다. 이를 통해 컴퓨터 내부와 정보를 주고 받게 된다. 장치 컨트롤러의 역할 - CPU와 입출력장치 간의 통신 중개(일종의 번역가 역할 수행. 즉 통신의 규격화) - 오류 검출 - 데이터 버퍼링( 버퍼링이란? : 전송률이 높은 장치와 낮은 장치 사이에 주고 받는 데이.. 2023. 7. 13. 이전 1 ··· 18 19 20 21 22 23 24 ··· 3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