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33 [CS] 컴퓨터 구조 (4) ALU와 제어장치 ALU가 받아들이는 정보는 레지스터로부터 오는 피연산자, 제어장치로부터의 제어신호, 레지스터로부터의 결괏값이나 플래그 등이 있다. ALU는 산술연산자이므로 다시 말해 계산을 하기 위해서는 당연하게도 피연산자와 수행할 연산이 필요하다. 이 때 데이터를 CPU 내 레지스터에 저장하는건 메모리에 접근하는 것보다 속도가 빠르기 때문이다. 플래그 레지스터에 저장되는 플래그의 종류로는 다음과 같다. 부호 플래그 연산한 결과의 부호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부호 플래그가 1일 경우 계산 결과는 음수, 0일 경우 양수를 의미. 제로 플래그 연산 결과가 0인지 여부를 나타낸다. 캐리 플래그 연산 결과 올림수나 빌림수가 발생했는지를 나타낸다. 캐리 플래그가 1일 경우 올림수나 발림수가 발생했음을 의미한다. 오버플로우 플래그.. 2023. 6. 27. [CS] 컴퓨터 구조 (3) CPU의 작동 원리 ALU는 CPU 안에 있는 산술 논리 연산자이다. ALU는 레지스터로부터 피연산자, 제어장치로 부터 제어신호를 받아들이고 레지스터에 결괏값이나 플래그를 내보낸다. 즉 계산을 하기 위해서는 피연산자와 수행할 연산이 필요하다. 그리고 플래그는 플래그 레지스터라는 곳에 따로 저장이 된다. 레지스터에 저장하는건 메모리에 접근하는 거보다 속도가 빠르기 때문이다. 플래그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부호 플래그 : 연산할 결과의 부호를 나타낸다. -제로 플래그 : 연산 결과가 0인지 여부를 나타낸다. -캐리 플래그 : 연산 결과 올림수나 빌림수가 발생했는지를 나타낸다. -오버플로우 플래그 : 오버플로우가 발생했는지를 나타낸다. -인터럽트 플래그 : 인터럽트가 가능한지를 나타낸다. -슈퍼바이저 플래그 : 커널 모드로 실행.. 2023. 6. 15. [CS] 컴퓨터 구조 (2) 데이터와 명령어 컴퓨터 구조를 공부하면서 배운 내용을 정리해보자. 문자 표현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0,1로 문자를 표현한다. 문자 집합은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문자의 모음이며 컴퓨터가 문자를 이해하기 위해선 문자를 0과 1로 이루어진 문자 코드로 변환하는 과정이 (즉 코드화 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를 인코딩이라고 한다. 반대로 0과 1로 표현된 문자 코드를 문자로 변환하는 과정은 디코딩이라고 한다. -아스키 코드와 EUC-KR, UTF-8 아스키 코드는 초창기 문자 집합 중 하나로써 알파벳, 아라비아 숫자, 일부 특수 문자 및 제어 문자를 표현할 수 있다. 인코딩이 간단하며 7비트로 하나의 문자를 표현한다.(아스키 코드는 총 8비트이지만 1비트는 오류 검출을 위해 사용되는 패리티 비트로 사용됨) 그러나 7비트로 하나.. 2023. 6. 15. [postgresql] ERROR: relation does not exist 테이블 명 대소문자 이슈 해결법 그 동안 MySQL만 쓰다가 이번 프로젝트에서 새롭게 postgresql을 사용하게 되었다. 테이블을 만들고 데이터를 넣은 뒤 select 문을 실행했다. 일단 boardCategory라는 테이블은 분명히 만들었고 분명히 존재한다. 그런데 왜 테이블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일까. 에러로그를 자세히 보면 난 쿼리를 'boardCategory'로 날렸지만 실제론 'boardcategory'로 쿼리가 실행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postgresql은 기본적으로 테이블명에서 대문자, 소문자 혼용일 경우 대소문자를 구분을 안하고 다 소문자로 받아들인다. 따라서 테이블 명에 " "를 씌워주어야 한다. 이 큰 따옴표는 쿼리를 해석할 때 대소문자를 구별하라는 식별자라고 할 수 있다. 즉 소문자만 있으면 써도 되고 안.. 2023. 6. 13.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3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