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33 선생님 초등학교 6학년 때 아주 좋은 담임선생님과 친구들을 만났다. 그때는 정말 학교 가는 내일이 빨리 왔으면 좋겠어서 빨리 잠자리에 들곤 했는데 과연 살면서 그런 순간이 다시 올까 싶다. 선생님은 20대 중반의 여선생님이었는데 지금보면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때로는 인자하게, 또 때로는 카리스마있게 노련히 우리를 이끄셨고 우리는 그 선생님의 지도 아래 행복한 1년을 보냈다. 어쨌든 나 뿐 아니라 대부분의 반 친구들은 그 시절을 소중히 여겼고 졸업과 동시에 청소년이 되었지만 스승의 날이 되면 다시금 그 때 그 자리에 어린이로 돌아가 선생님을 만나곤 했다. 선생님은 여전히 우리를 반겨주셨고 학교가 갈라진 친구들을 만났다. 우리의 전통은 계속 이어져서 중학생,고등학생 때까지 매년 찾아뵈었다. 심지어 선생님이 전근가.. 2023. 5. 17. [TS] 타입스크립트에서 Wrapper 객체 타입 피하기 프로젝트를 하던 도중 이런 에러가 떴다. 이 부분에서 문제가 생긴거 같은데 isDeleted의 타입은 Boolean이였기 때문에 문제가 없어 보였다. 하지만 타입스크립트에서는 객체 Wrapper 타입을 지양한다. 객체 Wrapper 타입이란 대문자로 시작하는 타입인데 (Number, String, Boolean, Object 등) 반대는 원시타입이 있다.(number,string,boolean,object 등) 원시타입들은 객체 타입이 아니고 단순 데이터 타입이기 때문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즉 프로토타입이 없고 메서드도 없다. 하지만 자바스크립트에서는 이 원시 타입에 메소드를 사용하고는 하는데 이는 자바스크립트 엔진에서는 형 변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능하다. 위 사례처럼 메서드를 사용하게 되면 순간적으.. 2023. 5. 16. [JS] import와 require의 차이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해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다가 어떤 모듈을 불러오기 위해 import를 사용했지만 에러가 뜨면서 require를 사용하라고 메세지가 뜬적이 있다. 그 둘의 차이를 알아보자. 기본적으로 import와 require는 모듈 키워드이다. 즉 외부 파일이나 라이브러리를 불러올 때 사용한다. 다만 require는 NodeJS에서 사용하고 있는 CommonJS 키워드이고 import는 ES2015에서 새롭게 도입된 키워드이다. 둘 다 같은 목적을 가지고 있지만 위 이미지처럼 다른 문법 구조를 지니고 있다. 요새는 ES6가 많이 쓰여 import가 주로 사용되고 있지만 태그를 사용하는 브라우저 환경이나, CommonJS를 기본으로 채택하고 있는 NodeJS 등이 있기 때문에 100% import로 대체.. 2023. 5. 15. 웹 크롤링과 스크래핑의 차이 웹 크롤링과 웹 스프래핑은 단어도 비슷하고 기본적으로 유사한 의미를 지니다보니 혼용되어 많이 쓰기도 하고 어떤 단어를 어떤 상황에 써야하나 헷갈릴 때도 많다. 이 두가지의 차이점을 알아보자. 웹 크롤링 웹 크롤링은 자동적으로 웹 상의 URL을 탐색해 반복적으로 링크를 찾고 가져오는 과정이다. 웹 크롤링이 아닌 스파이더링이라는 단어를 사용할 때도 있다고 한다. 웹 크롤러라는 단어도 있는데 영어 단어에서도 알 수 있듯이 웹 크롤링을 실행하는 하나의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정리하자면 웹 상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 웹 크롤링이라고 할 수 있다. 웹 스크래핑 웹 크롤링은 데이터를 단순히 탐색하는 행위를 의미한다고 보면 된다. 웹 스크래핑은 거기서 좀 더 나가서 웹 사이트 상에.. 2023. 5. 15.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3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