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33

[DataBase]inner join과 left join의 차이 지금까지 개발을 하면서 제일 많이 썼던 JOIN 방식 중 두개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보통 JOIN 연산의 경우 데이터를 가지기 위해 테이블을 합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 inner join과 left join을 많이 쓰게 된다. 이 두가지 방식의 차이점을 알아보자. 예시를 위해 개발하고 있는 프로젝트의 게시판 테이블과 게시판 댓글 테이블을 사용해 예시를 들겠다. 게시판 테이블의 행은 106개이고 댓글 테이블의 행은 52개이다. LEFT JOIN left join은 outer join의 일종이다. 여기서 중요한건 outer join은 합집합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왼쪽에 있는 테이블의 모든 행을 조회하게 된다. 쿼리를 이렇게 날리게 되면 왼쪽에 있는 테이블인 board 테이블의 모든 행을 다 조.. 2023. 5. 12.
[JS]자바스크립트로 만든 간단한 리볼빙 계산기 코드는 간단하지만 내 마음은 간단치가 않다. 이건 뭐 거의 사기가 아닌가... 일단 리볼빙이라는거 자체가 계속 리볼빙을 걸어놓으면 코드가 끝나지 않기 때문에 처음 리볼빙을 걸고 돈을 쓴 뒤 아예 쓰지 않는 상황을 상정했다. (이 부분은 추후 보강할 예정) 일단 난 더 현재 금액에서 원금을 더 불리고 싶지 않아 카드를 꺾어버릴 예정이다. var wongum = 500; //원금 var gumli = 20; //이자율 var guljeviyul = 10; // 결제비율 var shit = 0; // 총 결제 비용 var yes = 5; //이제 한번에 갚을 수 있겠다 싶은 비용 var i = 0; while(wongum>yes){ console.log("------------------"); console... 2023. 5. 9.
[NestJS]NestJS에서 Swagger 사용법 어떤 프로젝트를 하던간에 문서화는 필수다. 특히 프로젝트가 크면 클수록 문서화를 해놓지 않는다면 유지보수나 기능확장을 할 때 엄청난 재앙으로 돌아올 확률이 크고 협업함에 있어서도 어려움을 겪는다. NestJS를 통해 api 서버를 개발 할 때 이 문서화의 귀찮음을 어느정도 해결해줄 수 있는 방법이 있다. Swagger란? Swagger는 API 문서 자동화 도구이다. 그냥 API 코드를 만들고 수정하면서 자연스럽게 API 문서가 생성되고 수정한다. 즉 굳이 따로 시간내서 작성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특히 API 문서에서 제일 문제가 되는게 최신화인데(최신화가 되지 않으면 다른 팀원들과의 협업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런 문제가 자연스럽게 해결 된다. 또 장점은 이 API를 테스트할 수 있는 화면까.. 2023. 5. 3.
치킨 한 마리 흔한 사연이다. 이런 종류의 사연들이 으레 그러하듯 우리 집은 그리 풍족한 집이 아니었다. 아버지의 잘못된 투자로 우리는 마포구 달동네 비슷한 곳에 살아야했고 난 거기서 사춘기가 시작되기 직전까지 있었다. 형편이 넉넉치 못 하기 때문에 외식은 잘하지 않았고 그래서 그 흔한 햄버거,치킨,피자를 자주 먹어보지 못 했다.(그래서 더 좋아했다. 물론 지금도.) 그러다 나와 동생의 칭얼거림이 심해지면 부모님은 거의 언제나 치킨 한마리를 시켜주셨다. 우리 가족은 4명이었고 4명이 치킨 한마리를 나눠먹었다. (참고로 한마리는 현재 내가 다 먹을 수 있는 양이다) 아무리 나와 동생이 어렸다고는 해도 우리에게 무조건적인 양보를 하시던 부모님에게는 그저 맛만 볼 만큼의 양 밖에 돌아가지 않으셨을 것이다. 심지어 다리는 나.. 2023. 4. 29.
반응형